茶禮告祝(忌祭祝文) 용지는 백지의 길이 36㎝, 폭 24절로 하여 가는 붓으로 정자로 서한다.(16절도 가함)
(가) 父母忌祭祝文(부모기제축문)
父
- 維
- 유
- 檀君紀元 ○○○○年 歲次 ○○ □月 ○○朔 □日 ○○
- 단군기원 ○○○○년 세차 ○○ □월 ○○삭 □일 ○○
- 孝子 ○○敢昭告于
- 효자 감소고우
- 顯 考 某 官(學生) 府 君
- 현 고 모 관(학생) 부 군
- 顯 妣 孺 人 本封 某氏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 현 비 유 인 본봉 모씨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호천망극
-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
- 饗
- 향
※ 曾祖는 顯曾祖考ㆍ顯曾祖妣, 高祖는 顯高祖考ㆍ顯高祖妣라 쓴다.
※ 부모는 昊天罔極, 祖父母 이상은 不勝感慕라 쓴다.
母
- 維
- 유
- 檀君紀元 □□□□年 歲次 ○○ □月 ○○朔 □日 ○○
- 단군기원 □□□□년 세차 ○○ □월 ○○삭 □일 ○○
- 孝子 ○○敢昭告于
- 효자 감소고우
- 顯考某官府君 (妣某封某氏合葬則列書)之墓 氣序流易
- 현고모관부군 (비모봉모씨합장즉열서)지묘 기서유역
- 歲律旣更 瞻掃封塋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 세율기경 첨소봉영 호천망극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 饗
- 향
(나) 節日墓祭祝(명절차례축) 예
※ 父母는 孝子, 祖,曾祖,高祖는 孝孫, 5代祖부터는 幾代孫이라한다.
※ 歲律旣更은 설날에 쓰는 것이므로 한식에는 우로기유(雨露旣濡), 단오에는 시물창무(時物暢茂), 한가위는 백로기강(白露旣降)이라 쓴다.
※ 瞻掃와 封塋은 묘지의 봉분을 쳐다보라는 듯이므로 묘지에서 지낼 때 쓰고 집에서 위패를 모실 때는 追遠感時라 쓴다.
※ 昊天罔極은 부모에게만 쓰고 조부모 이상에게는 不勝感慕, 아내에게는 不勝悲念이라쓴다.
※ 祗薦歲事는 웃어른에게만 쓰고 아랫사람에게는 伸此歲事라쓴다.
(1) 墓祭祝(묘제축)예 : 단군년호 4351년 10월2일 인 경우
- 維
- 유
- 檀君紀元 四三五一年 歲次 戊戌 十月 甲辰朔 初二日 乙巳
- 단군기원 4 3 51 년 세차 무술 시월 갑진삭 초이일 을사
- ○○代孫 ○○敢昭告于
- 대손 감소고우
- 顯○代祖考某官府君(妣某封某氏合葬則列書)之墓 氣序流易
- 현○대조고모관부군(비모봉모씨합장즉열서)지묘 기서유역
- 霜露旣降 瞻掃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 상로기강 첨소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 饗
- 향
※ 비오는 날 방안에서 지낼때는첨소봉영( 瞻掃封塋) 불승감모(不勝感慕)를 빼고 적치우천(適値雨天) 미능상묘(未能上墓) 행사우가(行事雨家) 혹은 雨來登土龍 謹行齋舍라 쓴다.
※ 세시(歲時)에는 세율기경(歲律旣更), 한식에는 우로기유(雨露旣濡), 단오에는 시물창무(時物暢茂), 추석에는 백로기강(白露旣降), 십월에는 상로기강(霜露旣降)이라 씀.
節氣 봄 立春 2.4 雨水 2.19 驚蟄 3.6 春分 3.21 淸明 4.5 穀雨 4.20
여름 立夏 5.6 小滿 5.21 芒種 6.6 夏至 6.22 小暑 7.7 大暑 7.23
가을 立秋 8.8 處暑 8.23 白露 9.8 秋分 9.23 寒露10.9 霜降10.24
겨울 立冬11.8 小雪11.23 大雪12.7 冬至12.22 小寒 1.6 大寒 1.20
(2) 歲享祝(세향축, 陰十月歲一墓祭祝)
- 維
- 유
- 年號幾年 歲次 干支幾月 干支朔 幾日干支 幾代孫 ○敢昭告于
- 년호기년 세차 간지기월 간지삭 기일간지 기대손 감소고우
- 顯○代祖考某官府君
- 현○대조고모관부군
- 顯○代祖妣某封某氏之墓 今以 草木歸根之時 追惟報本 禮不
- 현○대조비모봉모씨지묘 금이 초목귀근지시 추유보본 예불
- 感忘 瞻掃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 감망 첨소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 饗
- 향
※ 집에서 위패를 모시고 지낼 때는 첨소봉영을 추원감시(追遠感時)라 쓴다.
- 維
- 유
-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 干支朔 幾日干支 幼學姓名 敢昭告于
-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 간지삭 기일 간지 유학성명 감소고우
- 土地之神 今爲 某恭修歲事于 ○代祖考某官府君之墓
- 토지지신 금위 모공수세사우 ○대조고모관부군지묘
- 維時保佑 神賴神休 敢以 酒饌 敬伸奠獻神 尙
- 유시보우 신뢰신휴 감이 주찬 경신전헌신 상
- 饗
- 향
(3) 山神祝(산신축,墓祭時祝土地祝)
※ 酒饌敬伸奠獻神을 酒果祗薦干神으로 써도 된다.
- 維
- 유
-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幼學姓名○敢昭告于
-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유학성명 감소고우
- 土地之神 玆有學生 某公(主人自告則稱某貫學生府君合葬則列
- 토지지신자유학생모공 書某親封孺人某貫某氏稱號隨改)
- 卜宅此地 恐有他患 將窆他所 謹以 酒果 祗薦于神
- 복택차지 공유타환 장폄타소 근이 주과 지천우신
- 神其佑之 尙
- 신기우지 상
- 饗
- 향
(4) 莎草時 山神祝(산신축, 사초할 때 축)
- 維
- 유
- 年號幾年 歲次 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幼學姓名○敢昭告于
- 년호기년 세차 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유학성명 감소고우
- 土地之神 今爲 顯考學生府君(合葬列書)之墓 塚宅崩頹
- 토지지신 금위 현고학생부군지묘 총택붕퇴
- 將加修治 神其保佑 俾無後艱 謹以 酒果祗薦于神 尙
- 장가수치 신기보우 비무후간 근이 주과지천우신 상
- 饗
- 향
※ 유택이 붕괴되었으므로 장차 수축을 하려하오니 신이시여 보호하사 후환이 없도록 하여 주시옵소서.
(5) 具石物告辭(구석물고사)
- 維
- 유
- 年號幾年歲次 干支 幾月干支朔 幾日干支 孝子○○敢昭告于
- 년호기년세차 간지 기월간지삭 기일간지 효자감소고우
- 顯考學生府君(合葬列書)之墓 今以 吉辰謹具石物
- 현고학생부군지묘 금이 길신근구석물
- 排設如儀(床石碑石望柱石一時井立則云)用衛墓道(但建立 表石
- 배설여의용위묘도
- 則衛字改以表)謹以 酒果用伸虔告 謹告
- 근이 주과용신건고 근고
※ 비석만할 경우에는 石物을 碑石이라 고쳐쓰고 用衛를 用表라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