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대구서씨대종회
대구(大丘)를 본관으로 하는 성씨를 말한다
임오보 부록
大丘徐氏族譜附錄 (壬午譜1702)
- 世稱徐氏初無二貫 後來分派 爲達城利川長城扶餘連山 而皆祖於羅末阿干大夫徐神逸云 以其載於地誌者言之神逸 子弼麗朝內議令 子熙太保內史 子訥侍中
孫恭兩界兵馬使 本朝漢城府事徐選 大司成徐崗 皆系利川
- 세간에서 말하길, 서씨는 애초부터 두 관향이 없었는데, 후대에 와서 파가 갈리어 달성, 이천, 장성, 부여, 연산이 되었고 이들은 모두 신라말 아간대부 서신일을 시조로 삼는다고 하였다. 그 지리지에 실려 있는 것으로 말하자면, 신일의 아들은 필인데 고려조의 내사령이고, 아들 희는 태보내사이며, 아들 눌은 시중이고, 손 공은 양계병사라고 하였다. 조선의 한성부사 서선과 대사성 서강은 모두 이천을 본으로 한다고 하였다.
- 大丘載麗末徐鈞衡 及本朝徐四佳居正 鈞衡卽樂齋徐思遠之先世也 四佳卽吾家先世也 一鄕之徐 分爲兩派 似無是理 先世事蹟 無可考證 而第異於他徐 玆以別錄 附諸篇末 略其旁註 所以示其間也
- 대구조에는 고려말의 서균형과 조선의 서사가 거정이 수록되어 있는데, 균형은 바로 낙제 서사원의 선조이고 사가는 바로 우리 집안의 선조이다. 한 고을 서씨들이 두 파로 나뉘었으니 이러할 이치가 없을 듯하지만 선세의 사적 중에 고증할 만한 것이 없으며, 여타의 서씨들과는 다른 까닭에 이에 별록으로 하여 책의 끝에 붙이고 대략 주석을 달아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 自餘長城之譜始於徐稜 連山之譜始於徐寶 南平之譜始於徐鱗 扶餘之譜始於徐秀孫 而平當之徐始於徐俊邦 卽利川之別派也 世代不遠而源流分派無以詳知也
- 그 나머지 장성의 족보는 서릉에서 시작하고, 연산의 족보는 서보에서 시작하며, 남평의 족보는 서린에서 시작하고, 부여의 족보는 서수손에서 시작하며, 평당의 족보는 서준방에서 시작하니 바로 이천의 별파들이다. 세대가 멀지 않은데도 그 원류와 분파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가 없다.
- 義城金姓人譜中云 徐之先出自箕子 遠不可考 新羅末有徐神逸 高麗初有徐穆 利川之徐 皆其後也 大丘峯城分自利川同是徐神逸之後
- 의성김씨족보중에 "서씨의 선조는 기자에서 나왔지만 시대가 멀어 상고할 수가 없다. 신라말에는 서신일일 있으며, 고려초에는 서목이 있는데 이천 서씨들은 모두 그들의 후손이다. 대구와 봉성은 이천에서 갈라져 나온 것인데 똑같이 서신일의 후손들이다."라고 하였다.
- 按譜徐有二派 一則達城君徐穎之後 一則判典客寺徐益進之後 其源同一派也 故錄于此 以爲他日考證之地
『이하 중략』
- 족보를 살펴보니, 서씨는 두 파가 있는데 하나는 달성군 서경의 후손이며, 하나는 판전객시사 서익진의 후손인데, 그 시원은 같은 파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에 기록하여 후일 고증의 바탕으로 삼는다.
『이하 중략』
처음으로 가기